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1 No. pp.9-19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6.1.9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e

Sung Ye Kang
Department of Nursing, Kkotongnae University, Cheo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Kang, Sung Ye Department of Nursing, Kkotongnae University, 133 Sangsam-gil, Hyundo-myeon, Seowon-gu, Cheongju 28211, Korea. Tel: +82-43-270-0170, Fax: +82-43-270-0120, E-mail: srkang@kkot.ac.kr
December 1, 2015 ; December 20, 2015 ; January 18, 2016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d describe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 nursing students who hadmore than 24 weeks clinical practice and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ata and transcribed note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it was developed by Strauss & Corbin (1998).


Results:

Core concept was extracted as “Adapting to the strange environment". And 6 interaction strategies of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e were derived. 6 interaction strategies were as follows: 'Inquiring', 'Changing', 'Enduring', 'Accepting', 'Acquiring', and 'Attract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the programs to support th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the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this support program must embody the core concept that is "Adapting to the strange environment". That has been developed by nursing students who adjusted themselves to the strange environment by their own method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과정

강 성 례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학은 실무중심학문으로서 간호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병행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전문직 간 호사를 양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교육목표를달성하기 위해서는 강의를 바탕으로 학습한 이론을 실제 간호 상황에 적 용해보는임상실습과정이반드시요구된다(Kwon, 2002).임 상실습은 학생으로 하여금 학교에서 배운 간호이론을 실무현 장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창의력과 응용력을 확장하고 업무역량을 최대한 계발시키는 학습과정이라 할 수 있다(Park & Ha, 2003).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 전문직 구 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의료기관의 조직 내에서 간호학생들 은임상실습을통해사회성과책임감을획득하고,간호전문직 에대한적성여부를확인하고,간호철학과윤리적감각을형성 하게 된다(Hartigan, Cobbett, Amirault, & Muise, 2007).

    이상과 같이 임상실습이 제공하는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학 교라는 친숙한 공간을 벗어나 처음으로 직업사회의 현장에 투 입되는 간호학생들은 경험 밖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된다. 뿐만아니라기대에어긋나는실습환경에노출되어위축 되거나좌절을경험하며, 모호한자신의역할에대해당혹감을 가지거나 숙련되지 않은 간호기술을 사용하는데 대한 불안을 느끼게된다.또한신체적피로감,타교생들과의경쟁에서느끼 는정서적긴장, 환자들로부터감지하는비우호적태도로인한 자존감저하, 간호의전문성에대한회의감으로힘겨운시간을 보내며,경우에따라서는간호학전공에대한심각한갈등에빠 지기도한다(Hur et al., 2004).그러므로임상실습으로부터오 는 장애요소와 갈등요소를 제거하고 순기능을 유지하여 학생들 로 하여금 임상실습에 합리적이고도 능동적으로 적응해 가도록 돕는것이마땅하다.그러기위해서는이와관련된유용한정보 들이 도출되고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이론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임상실습에 대한 총체적인 경험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 들이 다소 수행되고 있다(Hyun & Soe, 2000;Park & Kim, 2000;Park & Ha, 2003). 이러한 질적 연구들은 현상과 관련 된 특정 변수만을 제한적으로 다루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임상 실습과 관련된 현상들을 총체적이고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점과 대상자인 실습학생의 관점에서 현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주관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탐색하는 것에서 나아가 간호학생들이 주어진 임상실습에 어떤 과정을 따라 자생적으로 적응해 가는 지, 임상실습상황에적응하기위해어떤대처전략들을체득하 여 사용하는지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외부의 개 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들의 자생적 적응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얻을 수 있기 때문이 다. 따라서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획득하는 경험의주 요현상, 그러한 현상의발생에영향을 미치는원인, 개인과사 회문화적맥락, 중재적요소, 개인의독특한반응과전략, 이러 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삶의 결과 등과 같은 역동성과 동태 성이 반영된 다양하고 총체적인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근 거이론연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 적응해 가는 과 정에서 경험하는 총체적인 현상을 탐색하여 진술함으로써 이 들이 경험하는 신체 · 심리 · 사회적 문제와 사용하는 상호작용 적 전략을 포괄적이고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관련 실체이론 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적응과정을 탐색하기 위 하여초점집단에의한자료수집Strauss와Corbine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선정 및 초점집단구성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적어도 24주(주당 40시간) 이상의 임 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으로서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하는 자로 의도표집하였다. 참 여자는지방에소재하고있는일개4년제대학의간호학과학 생 19명이었는데 모두 여성이었고, 평균연령은 22.2세였다. 참여자들은주로대학병원,일반종합병원,신경정신전문병원, 복지시설내의 정신보건센터, 보건소 등에서 24주 이상 임상 실습을 수행하였다. 초점집단은 3개로 구성하여 각 집단마다 6~7명이 분포되도록 하였다.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및 자료수집

    연구자는 수집된 내용을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절대 사 용하지 않겠으며, 개인의 사적 상황을 비밀로 유지하되 익명 성을 보장한다는 점을 참여자들에게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 한 참여자가 원하면 면담을 중도에서 철회할 수 있음을 알리 고 집단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면담은 각 초점 집단마다 전 참여자들이 동의하는 면담일시를 정하여 시행 하였다. 외부의방해를최소화하기위해방과후개인연구실 에서 면담이 진행되었는데, 간단한 다과를 준비하여 긴장을 풀고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각 면담 시 에는 연구자가 주로 면담을 이끌었으며, 참여자로부터 사전 양해를 얻어 전체 면담내용을 보조자가 녹음하였다. 연구자 는 면담을 인도하는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참여자의 진술을 요약하여 현장 노트하였으며, 면담 종료 후 참여자의 말을 적절히 이해하였는가를 확인하였다. 초점집단 면담은 2014년4월1일부터2014년6월15일까지약2개월반동안 이루어졌다. 각초점집단마다1회의면담이시행되었으며, 1 회당 집단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시간에서 2시간 30분 정도였다. 연구자는 “간호학생으로서 임상실습을 하면서 가 졌던 경험에 대해 말씀해주세요”라는 포괄적인 질문으로 면 담을 시작하였고, 참여자가 구술하는 내용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이 나타나면 이것을 중심으로 질문을 반복하는 형식으 로 연구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자 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도록 하였다. 녹음된 면담 내용은 빠른 시간 내에 필사하였으며, 내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보충적 설 명이 필요한 부분은 해당 참여자를 개인적으로 접촉하여 확 인하였다.

    4. 자료분석

    자료수집과 분석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참여자 의 진술과 현장노트는 Strauss와 Corbine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연구방법의 절차를 따라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 딩, 과정분석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분석되었다. 개방코딩에 서는 면담을 통해 참여자로부터 얻은 모든 진술을 현장노트와 메모 등을 참고하여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일차적 의미가 발견 될 때마다 개념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개념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비슷한 개념들을 통합하고 추상화하여 범주화하였다.이후범주들간의연관관계를확인하면서이들 을 근거이론 패러다임에 따라 분류하는 연결코딩을 하였으며, 분석된 범주들 중 연구현상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핵심범 주를 찾아내는 선택코딩을 하였다. 끝으로 과정분석단계에서 하위범주들을 핵심범주에 연결시키고 과정적으로 분석하여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 박사 학위소지자1인에게전체자료분석과정에대한비평과조언 을 받았다.

    연 구 결 과

    자료분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적응 경험을 나타 내는 70개의 개념이 추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바탕으로 15개 의 하위범주가 형성되었으며, 이 하위범주들로부터 5개의 상 위범주가도출되었다(Table 1). 자료분석을통해서 간호대학 생의 임상실습적응 경험은 단순히 현재의 상태로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과정적 경험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Figure 1).

    1. 원인조건

    1) 복잡한 심경으로 낮선 환경에 투입됨

    임상실습을 시작한 참여자들은 강의실 밖에서 진행될 또 다 른 형태의 학습에 대해 기대를 나타내었다. 책에서 배운 이론 을 실재상황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며, 곧 대면 하게 될 환자들에 대해서도 호기심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 렇게 기대와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학교라는 친숙한 공간을 벗 어나 처음으로 간호전문직 현장에 투입되는 참여자들은 ‘낯선 환경’이라는개념에몰두하게된다. 그과정을예측할수있는 이론중심의 학교교육과 달리 아무것도 가늠할 수 없는 특수한 공간에 투입된다는 사실에 참여자들은 큰 부담감을 안게 된 다. 이러한 부담감은 어려운 임상용어 때문에 말귀를 알아듣 지못할것에대한걱정, 미숙한간호지식과기술로인해주어 진 업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거나 간호 사고를 유발할 가 능성에 대한 두려움, 임상실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면서도 아직은 친숙하지 않은 간호사와 환자들 과의 대인관계에 대한 중압감 등으로 표현되었다.

    드디어환자를만나는거잖아요. 그리고이제학교에서 배웠던걸직접관찰할수있으니까기대가많이되죠. 하 지만그곳은학교랑은다르잖아요.그곳에대해아는것이 없다는것자체가엄청스트레스죠.그곳에서는감히나한 테맞추어달라고할수는없는거잖아요. 그러니내가맞 추어가야되는거더라고요.(초점집단2 -참여자2)

    2. 맥락

    1) 임상현장의 특성

    참여자들이 낯선 환경으로 인식하는 임상현장의 특성은 그 속성과 정도를 참여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이후 역 할적응과정에영향을미치게된다.참여자들이인식하는임상 현장의 특성은 관계성, 정확성, 신속성 등의 속성으로 요약되 며, 관계성의 정도, 정확성의 강도, 신속성의 정도 등에서 이 러한 속성의 차원이 드러난다. 업무를 중심으로 개인과 개인, 부서와 부서 간의 상호의존성이 강하여 관계의 정도가 매우 강한곳으로참여자들은임상현장을인식하고있으며,이러한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는 것을 중요한 요소로 이해하였다. 또한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중요한 일들이 이루어지는 곳인 만큼 정확성과 신속성이 요구되고, 이러한 속성들이 중요한 업무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임상현장의 분위기를 매우 민감 하게 감지하고 있었다.

    환자를중심으로의사, 간호사, 검사실, 방사선과등등 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거예요. 병원에 가보면 우선 그게 딱 들어와요. 그리고 모두들 정말 정신없이 움직여요. 뭔 가 빠르게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서로 뭔 가를 체크하고 묻고 확인하고...모든 게 정확해야 하니 까.(초점집단 1-참여자 1)

    2) 역할 특성

    참여자들이 인지하는 간호학생으로서의 역할특성 역시 그 속성과 정도에 따라 임상실습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여자들이 인지하는 역할특성의 속성은 올바른 태도, 책임 감, 순발력으로 요약되며, 올바른 태도의 정도, 책임감의 강 도, 순발력의정도등으로속성의차원이나타났다. 이러한속 성은 학교교육에서도 많이 강조되어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지 만 참여자들은 임상현장에서 비로소 실질적으로 대면하며 체 득하게 된다. 환자들과 임상지도자로서의 간호사, 그리고 다 양한 병원 종사자들에게 보이는 예의바른 태도에 따라 그들의 호의를얻을수있음을간파하게되며, 출퇴근을엄수하고, 주 어진 업무를 눈속임 없이 성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예비간호사 로서 지켜야할 중요한 덕목임을 깨닫게 된다. 또한 학교의 강 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는 달리 때로는 예상하지 못한 돌 발적인 상황을 대면하게 되어 스스로의 판단으로 이에 대처할 수밖에 없는데 참여자들은 이러한 대처를 순발력으로 이해하 고 있었다.

    무조건 인사를 잘하자 이것만이 살길이다(웃음). 그리 고열심히하자.근데참신기한건실습하면서단한번도 늦잠을자본적인없다는거예요.학교에서는아주사소한 것도 교수님이나 조교선생님이 해 주실 때까지...여기서 는 마냥 애처럼 그럴 순 없으니 뭐가 가장 최선일까 스스 로 묻고 대처 방법을 찾게 되는 것 같아요.(초점집단 3- 참여자 4)

    3. 중재적 조건

    1) 따뜻한 배려

    참여자들은 실습현장에서 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 동료학 생 등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통해 받는 격려, 조언, 위로 등을 따뜻한 배려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습현장에서 가 지게 되는 심리적 중압감과 업무 스트레스, 그리고 낯선 환경 으로 인한 소외감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공급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참여자들은 이와 같은 따뜻한 배려를 중요한 지지체 계로 인식하며, 주어진 역할에 적응할 수 있는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 삼고 있었다.

    사실 제가 집안 형편이 어려워 휴학을 고민하고 있을 때 이틀 무단결석을 했어요. 다음날 병원엘 갔는데 야단 맞을 거라고 각오를 단단히 하고 갔거든요. 그런데 수간 호사 선생님이 조용히 사무실로 저를 부르시더니 이유를 들어보시고는 이왕 공부 계속하기로 했으니 열심히 하라 고 하시면서 그 뒤로도 저를 많이 챙겨주시는 거예요. 그 게 참 힘이 되더라고요.(초점집단 1-참여자 2)

    2) 내적 통제

    내적 통제는 참여자들이 임상현장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 와 중압감 등 부정적인 감정을 다스리게 하는 내적조절기제로 서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임상실습에 적응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적통제는 개인마다 고유한 방식으 로 이행하고 있었으며, 주로 긍정적인 생각가지기, 신앙으로 이겨내기, 밝은 태도 유지하기,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사실 어떤 경우에는 학생이라는 이유만으로 무시하는 환자들이 있어요. 네가 간호사도 아닌데 왜 내 혈압을 재 냐고간호사오라고...처음엔그게참힘들었는데환자입 장에서는 학생을 못 미더워할 수도 있겠다 싶고...그래서 마음에끼고힘들어하지않았어요.(초점집단2-참여자3)

    3) 개인 경험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경험 역시 임상실습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중재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봉사활동, 가족을 간병했던 경험을 통해 임상실습업무에서오는어려움을극복하였다.뿐만아니라자 신의 생애에서 대면했던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고자 한 바를 성취하였던 기억을 되살리며,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 역시 이 겨낼 수 있으리라고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작년에 저의 외숙모가 유방암으로 돌아 가셨는데 돌아 가시기 마지막 한 달을 제가 간병을 했어요. 사촌들도 아 직 어리고 마침 그때가 방학이라서 우리 엄마가 저보고 좀 하라고 하셔서... 한 며칠 했는데 도저히 못하겠는 거 예요. 근데 내가 아니면 할 사람이 없으니까 했는데...외 숙모가 돌아가실 때까지 제가 간호를 했어요. 실습할 때 그때생각이많이났어요.그때도했으니지금도난잘할 수 있다. 뭐 그런 자신감이랄까.(초점집단 3-참여자 1)

    4. 핵심범주: “낯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

    핵심범주란 연구를 통해 밝혀진 중심현상을 의미하는 것으 로 본 연구에서는 “낯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가 간호대학생이 체득하는 임상실습 적응과정의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었다. 참 여자들은 임상실습에 점진적으로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낯 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라는 행동패턴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 다. 낯선 환경에 대해 참여자들이 느끼는 부담은 이를 극복하 고자 하는 각오로 이어지는데, 각오의 초점이 낯선 환경에 자 신을 맞추어가는 것에 있다. 또한 이러한 각오의 저변에는 낯 선 환경은 자신이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는 대상, 오히려 스스로 맞추어가야만 하는 대상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내면을 더 깊이 파고들면 참여자들은 낯선 환 경이라는 거대한 상대를 마주하고 있는 약자로서 자신의 존재 를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향해 스스로를 낮추고 맞추어 가는 것이임상실습을통해요구받는과제이며,임상실습의성공여 부 역시 이것에 달려 있다고 믿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실습현장에서 영문도 모른 채 야단을 맞거나 하 루 종일 환자의 활력증상만 체크하도록 일방적인 지시를 받거 나, 허드렛일로 시간을 보내거나, 환자로부터 학생이라는 이 유로거부당하거나,타교학생들에비해차별적인대접을받을 때심한당혹감을느끼게된다. 뿐만아니라알아듣기힘든임 상용어와 일관성이 결여된 지시를 받을 때 의사소통의 어려움 을 겪게 되고, 간호사의 위상이 자신이 기대했던 것보다 낮다 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간호의 전문성에 대한 회의감도 생기게 된다. 참여자들은 이와 같이 크고 작은 장애를 느끼는 실습현 장을 친숙한 배려와 보호를 받았던 학교와 비교하며 낯선 환 경으로인식하였다.그러나시간이흐르면서참여자들은자신 에게 주어지는 지지요소 또한 인지하게 되는데 친숙해진 환자 들과 간호사들로부터 받는 칭찬과 격려, 특이한 임상사례를 관찰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의 배려가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지지요소들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낯선 환경에 마음을 붙이고 임상실습을 지속할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이러한 칭찬과 격려 그리고 따뜻한 배려가 아무런 이유 없이 주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믿게 된다.

    5. 행위/상호작용전략

    임상실습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구사하는 전 략적 행동패턴은 “낯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로 요약되며 구체 적으로 ‘탐색하기’, ‘바꾸어가기’, ‘참아내기’, ‘받아들이기’, ‘터득하기’, ‘호감끌기’등을포함하고있다. 이러한것들은매 우 의도적이고 계획된 행위들로서 이 행위들의 바탕에는 임상 실습에 무리 없이 적응하여 안착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과 바람이 담겨져 있다.

    1) 탐색하기

    탐색하기는 참여자들이 초기상황에서 “낯선 환경에 맞추 어가기”를행동으로옮기는첫단계이다.낯선환경에내던져 진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간호사들의 언어적 혹은 비 언어적인 반응에 매우 민감한 태도를 보이며 그들이 원하는 바가무엇인지를적극적으로탐색하였다.이러한탐색의바탕 에는 간호사들에게 좋은 인상을 줌으로써 그들로부터 호의적 인 반응을 이끌어 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참여자들은 간 호사들의 반응을 살펴가면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제 각각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과 업무스타일, 그리고 요구를 파악하여 이것에 맞추어가는 방법을 체득해 나갔다.

    일이 힘든 것보다는 솔직히 좀(간호사)선생님들한테 밉보이면 어쩌나 이런 부담이 컸어요. 눈치 있게 굴어서 눈 밖에 나지 않고 실습을 잘 마쳐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던것같아요. 22년을살면서눈치없다는소리되게많 이들었는데실습하는동안1위, 0순위로제일많이늘었 던 게 눈치인 거 있죠.(초점집단2-참여자4).

    2) 바꾸어가기

    탐색하기가 다소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전략이라면 바꾸어 가기는보다적극적인전략이다.탐색하기를통해간호사들의 성향과 업무 스타일, 그리고 실습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나 면 참여자들은 그들이 파악한 실습환경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 걸림돌이 되는 자신의 습관을 변화시켜 나간다. 지각을 하지 않기 위해 일찍 기상을 하거나, 제한된 시간에 부과된 업무를 치러내기위해밥을빨리먹거나,걸음을빨리걷거나,말을빨 리하게된다.참여자들은학교울타리라는보호막을벗어났다 는 인식이 강하며, 낯선 환경에 맞추어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습관부터 바꾸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바꾸어가기는 단 순한 일상의 행동양식을 고치 것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이 관 계의 틀을 의식하고, 그러한 틀의 범주에서 용인되는 방향으 로 자신을 바꾸어가려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이제는 내 중심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맞추어가게 되더라고요. 딱 한번 지각을 했는데 간호사 선생님들이 절 쳐다보는 눈초리가 곱지 않아서 시계알람에 핸드폰 알 람에...이중삼중으로...그 뒤로는 지각을 한 번도 안했어 요.(초점집단 1-참여자 5)

    3) 참아내기

    간호업무의 특성상 병실을 계속 오가며 서서 해야 하는 일 이 많고, 시간을 다투어가며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많아 낯선 환경에서 익숙하지 않은 참여자들은 신체적인 고달픔을 겪게 된다.단순업무가반복되거나허드렛일과잔심부름으로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 참여자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전문 성을 따져보며 회의감을 빠지게 된다. 이러한 회의감은 신체 적인 고달픔에다 심리적인 부담을 더하게 되어 참여자들로 하 여금 심한 갈등에 빠지게 한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이러한 고 달픔과 불만, 그리고 걱정을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자신들을단련시켜주는기회로이해하였으며,간호사 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어려움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 의례로 여기고 있었다.

    어떤 때는 환자 58명의 바이탈을 혼자 해야 되는데 어 후.. 진짜 죽을 것 같은 거예요. 나중에는 바이탈 재다가 어디로 샐까 싶고.. 그런데 몸이 힘들기는 했는데 시간이 지나니까 그게 다 내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거를 밑 바탕에서부터 조금씩 배우고 쌓아야지 힘들다고 피해 갈 수 없잖아요. 속상하고 힘들어도 참고 삭이게 되더라고 요.(초점집단 3-참여자 3)

    4) 받아들이기

    실습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불만을 성장과 단련을 위한 디딤돌로 받아들여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 참여자들 은 심리적인 여유를 가지게 된다. 주변의 상황을 표피적으로 읽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도 있게 원인을 찾고, 각자나름대로처한입장을고려하고, 전후상황적맥락을분 석하게 된다. 이러한 개방적 시각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 들이 처한 상황과 관계적 맥락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객관적 관점을 유지하고 심리적 균형을 되찾게 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을 엄격하게 대하며, 과도한 일을 요구했던 간호사들 을가까이서지켜보며, 그들또한과중한업무로인해시달림 을당하고있음을알게되어오히려동질감을느끼게된다.뿐 만 아니라 공격적인 언동으로 불만을 토로하며 학생들을 괴 롭히는 까다로운 환자들에 대해서도 그들이 당하고 있는 신 체적, 심리적고통을미루어짐작하며, 그들의입장에서이해 하려고 노력하였다.

    지나고 보니까 각자 나름대로 이유가 있더라고요. 선 생님들도 바쁠 때에는 식사도 못하시고 막 뛰어다니세요. 그러면서도 우리는 밥 먹으러 가라고 챙겨주세요. 그런 걸보면막꾸지람해서섭섭했던게이해가되요.(초점집 단 1-참여자 6)

    5) 터득하기

    받아들이기를 통해 각자의 처한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객관 적 관점을 유지하고 심리적 균형을 되찾게 된 참여자들은 보 다 적극적으로 주어진 조건과 환경에 자신을 맞추어 가는데 필요한 요령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이러한 요령은 단순한 업무를 점차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에서부터 타인과의 대인관 계를 원만하게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나름대로의 전략 을 개발하고 시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업무를 수 행하는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스스 로 다스리고 통제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자기관리기술을 터 득하게된다.참여자들이임상실습적응과정에서스스로터득 하게 되는 이러한 요령들은 임상실습에 대한 적응력과 자생력 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선생님들께야단을맞았을때풀이죽어있거 나, 얼굴에 나타내면 좀 관계가 썰렇해지고 암튼 좀 그래 요. 그럴수록 기분 나쁜 것을 내색하지 않고 아무렇지도 않은 척 더 다가서 묻고 뒤를 졸졸 따라다니면 선생님들 도(마음을)풀고잘해주시는것같아요. 이런건누가가 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때마다 깨달아 가는 것 같 아요.(초점집단 2-참여자 4)

    6) 호감 끌기

    호감 끌기는 “낯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의 마지막 단계에 서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상호전략으로서 앞서 구사한 여느 것 들보다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참여자들 은 실습현장에서 만나는 타인들의 이해와 도움이 없이는 자신 들에게 주어진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생각과 함께 이들로부터 받는 호의적 태도가 자신들을 인정하고 격려 해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 으로 참여자들은 그들에게 동반자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게 된 다.따라서참여자들은실습현장에서자신들이그존재의미를 부여한타인들에게친근하게다가가서관심을보이고,남들이 피하는 힘든 일을 기꺼이 감수하며 헌신적인 태도를 보이려고 노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몰입하는 열정적인 태도를 드러내 보인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좀 더 적극적인 척을 되게 했어요. 시키기 전에 “아, 제가 할게요”이러면서... 그랬을 때 막 선생님이 되게 좋아해 주시고 학생 와서 이거 보고 배우 라고 그러시고.(초점집단 3-참여자 2)

    6. 결과

    1) 긍정적 변화를 체감함

    ‘호감 끌기’를 마지막으로 단계적, 상호작용적 전략과정을 거친 참여자들은 자신들에게 일어나는 긍정적 변화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임상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대처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자신이 수행해온 업무에 대한 자신감, 보람, 애착이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여자들은 서툴기만 했던 일에 차츰 능숙해지고, 스스로 자신의 업무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생겨나고,주변상황과사람들에게친숙함을느끼게되 면서 일에서 파생되는 생산성을 인지하게 되고,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에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은 자신의 도움으로 환자들의 요구가 충족되거나 환자의 슬픔과 고통을 위로하여 그들로부터 감사와 신뢰를 받게 되면 보람을 느끼게 된다. 나아가 간호를 통해 자신이 나름대로 한 인간의 고통을 위로할 있다는 사실에 큰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이러 한 자신감과 보람은 참여자로 하여금 간호직에 대한 희망과 애착을 가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초기 간호사의 업무를 의 사의 것과 비교하면서 간호직의 전문성에 대해 가졌던 회의감 을 간호전문직 고유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극복하게 된다. 즉 상하의 관계성으로만 이해했던 전문직간의 역할관계를 수평 적 차원에서 바라보게 되고, 저마다의 고유한 업무 특성을 지 니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간호직의 일원이 된다는 사실에 큰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

    어떤문턱을하나딱넘었다는느낌이들어요. 처음실 습 나갔을 때랑 끝났을 때랑 그 내공의 차이가 확실히 느 껴지죠. 실습을 하면서 어떤 간호 스킬 이런 것을 배우는 계기도되었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병원, 특히 수간호사 선생님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병동의 분위기를 알게 되면 서, 선생님들의 고충도 이해하고 환자를 위해 애쓰시는 모습에서 간호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필요한 것인가 를 선생님들을 통해서 깨닫기도 했던 것 같아요.(초점집 단 3-참여자 5)

    논 의

    학교라는 친숙한 공간을 벗어나 처음으로 실제 간호 상황에 투입되는 참여자들은 임상현장을 낯선 환경으로 인식하여 강 한 불안감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불안감은 어려운 임상용어 때문에 말귀를 알아듣지 못할 것에 대한 걱정, 미숙한 간호지 식과 기술로 인해 주어진 업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거나 간호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임상실습에 지대 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면서도 아직은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과 의 인간관계에 대한 중압감등으로 나타났다. Altman (2006) 은 이를 "reality shock"이라고 지칭하면서 실제 간호 상황을 접한 간호학생이나 학생신분에서 정규 간호사로 직업적 전환 을 이룬 신규간호사들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일종의 문화충 격으로설명하고있다.그러나한편에서임상실습에서간호학 생들이 겪는 중압감이 비록 보편적 현상일지라도 이를 방치했 을 경우 심각한 신체적 · 심리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종래는 간 호학 전공을 포기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 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Mamchur & Myric, 2003). 따라 서 실습현장을 보다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원화되어 있는 간호교육 시스템을 일원화하여 이론학습과 임상실습을 같은교수가연속적으로담당하는임상교수제도의도입,다양 한 간호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임상현장 과 거의 유사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갖춘 기본간호실습 환경 의보강,학교와임상실습지와의긴밀한연계와실습단계별로 잘 다듬어진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임상실습 현장에서 다양한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데 영문도 모른 채 야단을 맞거나 하루 종일 환 자의활력증상만체크하도록일방적인지시를받거나,허드렛 일로시간을보내거나,환자로부터학생이라는이유로거부당 하거나, 타교학생들에 비해 차별적인 대접을 받을 때 참여자 들은심한스트레스를받게된다. 같은맥락에서Hartigan 등 (2007)은 간호학생들이 일방적으로 당하는 비난, 관찰만 할 수있도록제한된실습환경, 배울기회가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고 잡일에 시간을 소모하는데 대한 불만, 간호사와 환자 로부터 당하는 무시와 무관심으로 힘겨워한다고 지적하였 다.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학대현상을 연구한 Sevilay와Nurhan (2004)은환자와간호사로부터받는공격 적인언사와과도한질책, 감당하기벅찬과중한업무, 성적농 담과접촉,부당한벌칙,나쁜실습평가를암시하는말투등다 양한 형태의 학대에 간호학생들이 노출되어 있음을 밝힌 바 있다.따라서간호학생의인권을손상시키는다양한문제들이 담론의 장으로 노출되어야 하며, 이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 한 방안과 정책이 다각적안 차원에서 논의되고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임상실습지에서 형성되는 인간관계 에큰의미를부여하며, 지대한영향을받는것으로드러났다. 참여자들은 실습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환자와 그 가족, 그리 고 간호사와의 관계에서 파생되는 다이내믹한 상호작용적 역 학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이 앞으로의 임상실습과 간호 전문직 수행과정에서 피해갈 수 없는 존재로 이해하게 된다. 학생들 이 타인의 언행과 태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데에는 이들의 이해와 도움이 없이는 자신들에게 주어진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어렵다는인식이바탕에깔려있기때문이다.따라서 학생들은 환자와 그 가족, 간호사와의 관계에 따라서 자존감 저하, 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직에 대한 회의감과 같은 부정적 인 생각에 빠지거나 반대로 자신감, 보람, 심리적 안정감, 간 호직에 대한 애정과 같은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임상현장에서 간호학생이 형성하는 인간관계의 패턴에 관한한연구(Arja, Helena, & Jouko, 2008)에서환자, 간호 사, 간호학생으로 이루어지는 삼각구도의 인간관계에서 간호 학생이 환자나 간호사보다 인간관계에 훨씬 의존적으로 집착 한다고 하여 간호학생이 주변 인물들에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Kessler와 Alverson (2014)은 임상현상에서 의사 소통과 간호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 요한 간호이론과 간호기술에 밀려 경미하게 취급되고 있는 실 정을지적하고있다.따라서일방적으로주어지는강의중심의 기존의 교육내용을 수정 ‧ 보완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 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술에 대 한 이론과 실습이 통합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및 내용의 개혁 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임상실습을 하는 동안 전략적인 행위 를 나름대로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가장 두드 러진 전략적 행동패턴은 “낯선 환경에 맞추어 가기”로 요약되 며 구체적으로 ‘탐색하기’, ‘바꾸어가기’, ‘참아내기’, ‘받아들 이기’, ‘터득하기’, ‘호감 끌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대처행위 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매우 의도적이고 계획된 행 위들로서 이 행위들의 바탕에는 임상실습에 무리 없이 적응하 여 안착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과 바람이 담겨져 있다. 간 호학생의 임상실습경험을 연구한 Suh (2001)는 간호학생들 이실습전, 기간, 후에각각경험하는바가다름을밝힌바있 어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 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간호학생과 가장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는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경험에 관한 한 연구(Son, Koh, Kim, & Moon, 2001)는신규간호사들이적응과정에서 헤매기, 부딪쳐가기, 노력하기, 버티기, 자리 잡기와 같은 상 호작용적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간 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생 들의 실습적응과 관련된 대처전략행위를 면밀히 들여다보면 학생들의 일방적인 참아내기 혹은 지나친 눈치 보기와 같은 비합리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뚜렷한 신념과 소신이 결여되어 있거나 지나치게 수동적으로 맞추기만 하는 대처행위들은 간호학생으로 임상 현장에서 대면하게 되는 다양 윤리적 상황과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회피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처를 하게 만든다(Chen & Lo, 2015). 따라서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에서 보이는 대 처양상을 바탕으로 이들의 임상실습적응을 지지할 수 있는 보 다 합리적이고 혁신적인 방법과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 이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 서 경험하는 총체적인 현상을 탐색하여 진술함으로써 이들이 경험하는 신체 · 심리 · 사회적 문제와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전 략을 포괄적이고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 구이다. 본연구의참여자들은4년제대학간호학과학생으로 서 24주 이상의 충분한 임상실습경험을 가지고 있는 19명으 로서 초점 집단 면담에 의한 자료수집과 Strauss와 Corbine (1998)이제시한근거이론연구방법의절차를따라자료분석 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임상실습적응에서 “낯선 환경에 맞 추어 가기”라는 중심현상이 도출되었고 이와 순환적 고리를 유지하면서 ‘탐색하기’, ‘바꾸어가기’, ‘참아내기’, ‘받아들이 기’, ‘터득하기’, ‘호감끌기’와같은6가지의과정적전략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들은 임상실습에서 간호학생들이 자생 적으로 찾고 터득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 다. 따라서 이후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적응 돕기 위해 설계 되는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자생적 전략들이 반영되어야 할 필 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igures

    JKAQR-1-1-9_F1.gif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ables

    The Experience of Social Adjustment on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References

    1. Altman, T. K. (2006). Preceptor selection, orientation, and eveluation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3 (1), 117-126.
    2. Arja, S. , Helena, L. K. , & Jouko, K. (2008). Nursing student- patient relationships: A descriptive study of students' and patients' 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 (1), 1-11.
    3. Chen, H. C. , & Lo, H. S. (2015). Nurs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an associated nursing program.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 (1), 27-33.
    4. Hartigan, T. A. , Cobbett, S. L. , Amirault, M. A. , & Muise, M. E. (2007). Nursing graduates' perception of their undergraduate clinical plac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4 (1), 1-12.
    5. Hur, H. K. , Choi, S. S. , Ahn, Y. H. , Lim, Y. M. , Shin, Y. H. , Park, S. M. , et al. (2004). Content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preceptors in clinical education for senior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 (5), 859-868.
    6. Hyun, M. S. , & Soe, M. A. (2000). Clinical Practical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setting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9 (1), 44-53.
    7. Kessler, T. A. , & Alverson, E. M. (2014). Mentor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research.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5 (4), 262-264.
    8.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2 (5), 706-715.
    9. Mamchur, C. , & Myrick, F. (2003). Preceptorship and interpersonal conflict: A multidisciplinary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2), 188-196.
    10. Park, M. Y. , & Kim, S. Y. (2000).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7 (9), 418-424.
    11. Park, J. W. , & Ha, N. S. (2003).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12 (1), 27-35.
    12. Sevilay, S. C. , & Nurhan, B. (2004) A study of nursing student abuse in Turke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 (7), 330-336.
    13. Son, H. M. , Koh, M. H. , Kim, C. M. ,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1 (6), 988-997.
    14. Strauss, A. ,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 Deli: SAGE Pub. Inc.
    15. Suh, M. S. (2001). The study of experience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using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10 (4), 686-698.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